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 교장리더십 인식 차이에 대한 예측 요인 탐색

Investigating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Variations in Perceptions of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전통적으로 교장리더십 연구는 주로 교사의 인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교사의 인식에만 치중된 교장리더십 연구 또한 객관적으로 교장리더십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학교행정가가 스스로 인식한 교장리더십과 교사들이 인식한 교장리더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리더십 자타평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II」의 1차년도 자료에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의 교장리더십 인식 차이를 예측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랜덤포레스트 분석 결과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 교장리더십 인식 차이에 대한 예측력이 높은 변수들을 활용하여 OLS 및 학교 고정효과/확률효과모형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장리더십에 대한 자타평가 차이에 대한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의 교장리더십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가 인식하기에 교장과 교사들 간의 관계, 교무회의 운영, 교사들의 실력,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교장리더십에 대한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학교행정가들이 인식하기에 교장과 교사들의 관계, 교과협의회 및 학생회 운영, 학교 내 교사들의 실력에 대한 학교행정가들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의 교장리더십에 대한 인식 차이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의 교장리더십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해 우선 교사들이 스스로를 학교 조직의 구성원이자 리더라는 인식을 지니고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자각하고, 학교 내의 문제 해결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행정가는 학교 운영 및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인식함은 물론, 교내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Historically, investigations into principal leadership have been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However, criticism has surfaced, contending that studies exclusively focused on teachers' viewpoints inadequately capture principal leadership in an objective manner. Consequently, there is a growing call for a thorough evaluation of leadership that encompasses the perceptions of both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employed the random forest technique on the 1st year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The objective was to discern factors predicting variations in the perception of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ubsequent to this, Ordinary Least Squares (OLS), school fixed effect model, and school random effect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employing variables identified for their substantial predictive power through the random forest analysis. This approach facilitated an investigation into principal leadership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self-evalu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ositive perceptions among teacher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 and teachers, the conduct of school affairs meetings, teachers' competency, and the efficacy of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were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the divergence in the perception of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Conversely, a more favorable percep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 and teachers,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council and student council, and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in the school resulted in an augmented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Based on above results, this study aims to diminish the perceptual gap in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Recommendations encompass encouraging teachers to perceive themselves as active members and leaders within the school organization, cultivating an awarenes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problems-solving processes.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objectively acknowledge their school's functioning and relationships with its members, making concerted efforts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in the school community.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