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습공동체에서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식구성에 관한 경험 이해: BK21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social knowledge construction in a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BK21 project participants

연구의 목적은 BK21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원생들의 학습공동체 경험에서 사회적 지식구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두 가지로 설정했으며 하나는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이론 관점에서 대학원생들의 학습공동체 경험이 지식의 구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탐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학원생의 학습공동체 경험 후 변화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 방법 중 면담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학원생의 학습공동체 참여동기와 과정, 소극적인 사회적 지식 경험, 적극적인 사회적 지식 경험, 주변인에서 주인으로 전환에 대한 네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적 지식구성은 근접발달영역(학습공동체)에서 교수/선배/동료의 비계설정 도움(피드백, 사회적 관계)으로 상호작용(소통)과 협력 학습(공동연구, 세미나)을 통해 나타났다. 둘째, 대학원생들은 학습공동체 참여 후 사회적 지지에서 자신감 및 대학원 생활에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대학원생들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다양한 전공과 관점에서 자신의 전공과 연구 방법을 배우고 학습하는 태도의 변화를 인식했다. 이 연구는 대학원생의 학습공동체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대학원에서 사회적 지식구성에 근거한 학습공동체 운영 개선과 교육환경을 만드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ci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from the learning communities experience of post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BK21 project. There are two research problems: one is to explore how postgraduate students' learning communities experience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nd the other is to understand the changed perceptions after postgraduate students’ learning communities experience.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interview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sults derived four themes: postgraduate students' motivation and process for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ies, passive social knowledge experience, active social knowledge experience, and transition from peripheral to owner. First, the soci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is appeared through interac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joint research, seminars) as help (feedback, social relationship) of professors/seniors/colleagues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learning community). Second, postgraduate students showed a change in confidence in social support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graduate life after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munities. In addition, postgraduate students recognize their tendency to learn about their major and research methods from various majors and perspectives through a learning communities. This study will enable to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ostgraduate students' learning communities. It will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operation of learning communities and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e soci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in graduate school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