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부모의 교권 침해 상황에서 나타난 학교장 리더십 분석 -서이초 교사 사건 이후 신문기사와 FGI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in the Situation of Parents' Infringement of Teachers’Rights -Based on News Articles and Teacher FGI after Seo2 Elementary School Teacher Case

본 연구는 특정 갈등 상황에 나타난 학교장의 역할 행동을 탐색하고자 서이초 교사자살 사건 이후 교권침해에 관한 신문보도 중에 학교장 리더십의 역할에 관한 기사를 분석하고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리더십 작용의 구체적 내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선행 연구를 통해 현재의 교장 선발제도와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갈등을 효과적이고 민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장 리더십이 형성되기 쉽지 않은 제도적 조건을 확인했다. 둘째, 7월 18일부터 9월 17일까지 2달간의 언론 기사들을 검색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www.bigkinds.com) 서비스를 활용하여 ‘교권’과 ’교장’이라는 검색어를 통해 발견된 217건의 기사 중 논의를 통해 마련된 기준으로 14건의 기사와 22개의 사례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교권침해에 대한 대응에 나타난 학교장의 갈등중재방식이 책임외면형, 책임추궁형, 결정회피형, 갈등중재형, 사전소통형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고 셋째,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이들이 현장에서 어떻게 작용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장의 갈등관리 대응 양식에 관한 정리를 바탕으로 교장 리더십의 긍정적 부정적 역할을 탐색하여 교장의 지도력 형성과 교장 선발 및 훈련에 관한 심화 연구와 공론화가 필요하고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다.

To investigate principals’leadership role and its relevance in school situation in conflict, this study analyzes news articles regarding school principals and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ienced teachers, and identifies some concrete contents of leaderships working on the school sites. Firstly, this study reviews increasing school conflicts by parents’demand for and dissatisfaction with teachers, the leadership roles by principals, and current principal selection institu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confirms that within current system, it is difficult to form effective and capable leadership to solve conflict democratically and efficiently in school situations. Secondly, this study search news articles for two months from July 18 to september 17 using the Korea Press Foundation's Big Kinds (www.bigkinds.com) service and find 217 articles related to the terms 'teacher rights' and 'principal'. After discussion, 14 articles and 22 cas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and a few distinctive leadership types are found such as avoiding responsibility, scolding teacher involved for responsibility, decisions pending, positive conflict mediation type, and proactive communication type. Thirdl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e check how these kinds of leadership work on school-sites. Based on this analysis, we conclude that further researches and public discourse on leadership formation and principals’ selection and training are required.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