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Adults involved in Stalking after terminating Romantic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일반 성인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스토킹 행위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시도 경험, 개인의 성별, 상대와의 첫 만남 특성에 따라 스토킹 위험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헤어진 연인과 재회를 희망하는 대상자(남성 51명, 여성 68명)의 질문지와 접수 상담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남성의 경우 상대방에게 실제적 위협을 가할 수 있는 미행, 자해 및 자살 위협과 같은 스토킹 범죄 특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고, 여성의 경우 가해자 위험요인 중 정신건강 문제가 남성에 비해 높았다. 둘째, 온라인으로 첫 만남을 가진 남성의 경우 고용 및 재정문제와관련된 가해자 위험요인을 더 많이 보였으며, 여성은 오프라인 만남으로 관계를 시작한 경우스토킹 행위의 지속성과 점진적 심각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범죄자가아니더라도 일반인 간의 교제에서 스토킹 행위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 대상으로 스토킹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시한다. 나아가서 재회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성별, 첫 만남 경위 등을 고려하여 사례를 구조화 시키고, 개입방법을 모색하는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재회상담 현장에서 스토킹 위험성 예측및 사전 예방을 위한 대상자 교육의 기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d risk factors of stalking among general adults. For this reason, we examined whether previous stalking offenses, gender, and initial encounter characteristics cause differences in stalking risk factors.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and intake counseling records from individuals (51 males and 68 females who ended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but desired to reunit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s exhibited more threatening behaviors such as pursuit, self-harm, and making suicidal threats, while females were highly prevelent of mental health issues. Second, males who initially met their partners online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employment and financial issues. Females who initially met their partners offline, showed higher levels of persistent and severe stalking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raise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danger of stalking behavior, as it can frequently occur in relationships involving individuals who are not criminals. Furthermore, it is vital to consider the client’s gender and initial encounter characteristics with their partners for reunion counseling case formulation, and intervention planning. The results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stalking risk assessment and stalking prevention programs for clients in reunion counseling practi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