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저학년용 AI 교육용 도서에 나타난 AI 내용 요소 분석과 비판적 고찰

Appeared in AI educational books for lower grades AI content element analysis and critical review

  • 164
표지.png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용 교육용 도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교재에 나타난 AI 리터러시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통해 저학년용 인공지능 교육용 서적 개발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학년용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 서적에 나타난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과목 공통 영역별 비중은 치우침이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는 학령기 학생들에게 인공지능 기초 소양 교육을 해야 하는 곳이다, 저학년 학생들도 학년의 발달 수준에 맞춘 적절한 인공지능 소양 교육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각 영역별 치우침이 없이 다소 어렵고 생소한 개념이나 이론이더라도 저학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내용 체계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analyze the AI literacy content elements found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xtbooks, focusing on educational books for lower grades, and seek a direction for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al books for lower grades through critical conside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ome bias in the proportion of common areas of elementary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bjects shown i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books for lower grades. Elementary schools are places where basic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must be provided to school-age students entering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udents in lower grades must also receive appropriat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tailored to their grade level of development. Therefore, even if it is a somewhat difficult and unfamiliar concept or theory without bias in each are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s should be developed and actively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 system.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와 분석

Ⅴ. 나가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