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쇄된 간지광고의 성적 사진이 수용자의 정보회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위해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적 사진에 노출된 피험자들은 중립적 사진이나 사진이없는 경우보다 제목에 대한 회상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뉴스가치에 대한 지각의 경우 사진이 크거나 감정을 수반하는 사진의 경우가 더 중요하게 생각되거나 신뢰한다는 연구결과와는 반대로 성적사진이나 중립적 사진의 경우는 사진이 없는 경우보다 뉴스가치 지각에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단서 재인의 경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요한 사건이나 이슈에 대한 보도에서 사진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데 사진이 결국 사건이나 사고에 대한 ‘중요한 이슈’로 지각된다고 할 것이다. 그렇지만 성적으로 묘사된 사진은 수용자들에게 정보의 중요성보다는오히려 오락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affects of erotic photographs in print media on the user's information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erotic image was marked higher in title and text recalling than text without a image. However it was marked lower in text recognition. Therefore it concludes that the lascivious images can lead consumer's attention to the title and introductions of the text but not the whole text.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n consumer's perception about news value, erotic images and moderate images has been marked lower than no image. It can be said that the previous knowledge construction about erotic images has been a important analysing factor.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ce between the gender group. This result shows that the erotic images are not useful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or a positive effect to the consumers. It only used as a tool to get consumer's attention.
I. 서 론
II. 이론적 논의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