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아상(我相)이 만들어 내는 번뇌망상의 관찰과 불교문학상담치료 - 『대승기신론』, <구운몽>, 『삼국유사』 불교설화의 불교문학치료적 활용

Observations of Delusion Generated by the Self-aggrandizement(我相) and Buddhist Literary Counseling Therapy - Utilization of Buddhist Literary Therapy in The Treatise on the Mahayana Awakening Mind(大乘起信論), Dream of the Nine Clouds, SamgukYusa(三國遺事)

본고는 문학치료학과 불교 가르침을 연결시켜 새로운 불교상담의 방법을 모색했다. 본고는 무명업식에서 비롯한 아상(我相)이 사람을 심리적으로 병들게 하고 고통스럽게 한다는 것을 전제로 했다. 『대승기신론』은 생각과 아상의 생주이멸(生住異滅)을 완벽하게 설명해주기에 불교이론적 근간으로 삼았다. <구운몽>과 『삼국유사』의 불교설화는 아상의 작동 과정을 인상적인 사건으로 구현하기에 주 텍스트로 삼았다. 본고는 『대승기신론』과 <구운몽> 및 불교설화를 문학치료적 안목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새로운 불교상담을 모색했다. 텍스트에 대한 내담자의 태도를 ‘공감과 비판’, ‘동일시와 거리두기’, ‘자기 대입과 성찰’로 나누어 살폈다. 내담자는 아상에 젖었던 인물들이 달라지는 과정을 따라가며 자기서사를 온전하게 만들어갈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교감하고 소통하며, 신뢰하고 포용하며, 화해하여 공생하며, 평등하고 공정하며, 보시하고 헌신하면서도 아상의 경계를 허문 자기서사에 다가갈 것이다. 내담자는 이 과정을 따라가며 자기서사를 온전하게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상담을 통한 병증 심리의 치유의 길이면서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길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 new method of Buddhist counseling by connecting literary therapy and Buddhist teachings. This paper base on the premise that A-Sang, originating from the realm of the karma, psychologically afflicts and causes suffering in individuals. The Treatise on the Mahayana Awakening Mind serves as the foundational Buddhist theory, perfectly elucidating the differentiation of thoughts, arising, abiding, changing, ceasing. Therefore, this paper uses the theory of arising, abiding, changing, and ceasing from The Treatise on the Mahayana Awakening Mind as the basis for logical development. This paper uses Dream of the Nine Clouds(九雲夢) and Buddhist narratives in SamgukYusa as primary texts, illustrating the functioning process of A-Sang as vivid events. By interconnecting The Treatise on the Mahayana Awakening Mind, Dream of the Nine Clouds, and Buddhist narratives through a literary therapeutic perspective, this paper seeks to explore new avenues in Buddhist counseling. This paper examines the client's attitude towards the text through 'empathy and critique,' 'identification and distancing,' and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It is anticipated that individuals who have been influenced by A-Sang will be able to reconstruct their self-narratives authentically while following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Engaging in empathy, communication, trust, inclusivity, reconciliation, equality, fairness, compassion, and dedication, individuals will gradually approach their own narratives, breaking the boundaries imposed by A-Sang. Following this process, individuals will be able to rewrite their self-narratives authentically. This journey serves as a path towards the healing of psychological disorders through counseling and enlightenment through practice.

Ⅰ. 불교 정견과 문학 텍스트의 공명을 통한 불교상담 모색

Ⅱ. 『대승기신론』의 생멸문과 진여문, 아상

Ⅲ. 『구운몽』에서의 생상(生相) 주상(住相)

Ⅳ. 『삼국유사』 불교설화에서의 아상(我相)

Ⅴ. 상담 운용 방안

Ⅵ. 자기서사 완성의 희망 – 결론을 대신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