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불경 본생담 아난다 서사의 문학치료적 독해

Literary Therapeutic Reading of Ananda Stories in Buddhist Sutra Jataka

이 논문은 한국문학치료학회의 문학치료학 이론과 방법을 적용해서 불경 본생담에 속한 전생 아난다 이야기를 치유적으로 독해한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인간을 문학적 존재로 보며, 작품에 내재한 서사를 통해 삶에 내재한 서사를 투시하고 조정하는 것을 주요 과업으로 삼는다. 본 연구는 원형적 작품서사로서 아난다 서사를 등불로 삼아 현대인이 수행과 성도의 길을 나아감에 있어 어떤 마음가짐과 행동방식을 취해야 하는지를 돌아보고자 했다. 본생담에서 아난다는 제바달다와 더불어 전생 붓다 다음으로 많이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는 흔히 세속의 삶을 사는 인물로 등장하며, 위상 면에서 붓다의 길과 제바달다의 길 사이에 놓인 인물로 의미화된다. 많은 이야기들은 그가 속세의 진애 속에 있다가 길을 극적으로 바꿔서 붓다의 진정한 동반자가 되는 질적 변환을 이뤄내는 과정을 인상적으로 형상화한다. 그 과정은 탐진치(貪瞋癡)의 굴레 속에 있는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그 굴레를 벗어나 존재적 변혁을 이루고 깨달음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하여 큰 계시를 전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본생담 자료에 대한 서사적 분석을 통해 아난다가 세속의 존재에서 성도(成道)의 존재로 변환을 이루어낸 요건을 크게 여섯 가지로 의미화했다. 첫째, 진리에 대한 열린 사유와 편견 없는 즉각적 수용이다. 둘째, 미련 없는 내려놓음과 과감한 길 바꿈이다. 셋째, 겸허하고 진솔한 우직함과 사심 없는 사행일치의 행동성이다. 넷째, 냉철한 분별력과 실전적 대처를 통한 당면 문제 해결 능력이다. 다섯째, 위기상황에서 흔들리지 않는 굳은 믿음과 강한 투쟁력이다. 여섯째, 차별 없는 존중의 인간미와 실천적 자비행이다. 이들 여섯 항목은 별개가 아니며 서로 긴밀히 어울려 있다. 거기서 궁극적으로 보게 되는 것은 마음만이 아닌 몸으로써, 생각만이 아닌 실천으로써 치열하게 현생을 살았던 한 인간의 모습이다. 본생담 속 아난다의 형상은 불법을 따르는 사람들이 길어낸 이상적 불자(佛者)의 문학적 전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불교상담에 유의미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담자가 내담자가 ‘아난다의 서사’를 화제로 삼아서 다양한 치유적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아난다의 특징적 행보 하나하나가 특별한 치료적 화두가 될 만하다. 문학료학의 특징적 방법인 ‘이야기 만들기’ 기법을 활용해서 내담자 자기서사를 반영한 아난다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이를 성찰하는 것도 불교상담의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불교상담학에서 개발되고 활용돼온바 수행명상 치유 등의 여러 상담법에 아난다 이야기를 접목할 길이 다양하게 열려 있다. 설화를 비롯한 원형적 문학작품의 활용은 불교상담을 더 풍부하게 하는 좋은 통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erapeutic potential within the past life stories of Ananda from the Buddhist sutra Jataka, applying the literary therapy theories and methods of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Literary therapeutics regards humans as literary beings, and its main task is to reflect on and adjust the story-in-depth inherent in life through the story-in-depth inherent in works. Using Ananda's narratives as a reflective tool,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indsets and behaviors that modern individuals should adopt when pursuing religious practices and the path of sainthood. In the Jataka, Ananda, alongside Devadatta, emerges as the second most frequently depicted character after Buddha. Often depicted as someone living a worldly life, Ananda symbolizes the juncture between the paths of Buddha and Devadatta. Many stories vividly portray his journey, showcasing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from worldly entanglements to becoming an authentic companion of the Buddha. This process offers profound insights for contemporary individuals ensnared by greed and ignorance, illustrating how to break free, undergo existential transformation, and progress towards enlightenment.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of various Jataka materials, this study identifies six conditions contributing to Ananda's transition from a worldly existence to a saintly one. Firstly, an open-minded approach to truth, embracing immediate acceptance devoid of prejudice. Secondly, the willingness to let go without remorse, embracing bold changes in direction. Thirdly, embodying humility, sincere honesty, and selflessness in actions. Fourthly, the capacity for cool-headed discernment and practical problem-solving. Fifthly, unwavering faith and resilience during crises. Sixthly, fostering a humanity of respect and engaging in practical acts of compassion. These aspects interconnect rather than stand alone, portraying a human existence passionately lived not only through thoughts but also actions. Ananda's portrayal in the Jataka stories can be seen as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ideal Buddhist figure, serving as inspiration for Buddhism followers. Ananda's portrayal in the Jataka stories can be seen as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ideal Buddhist figure, serving as inspiration for Buddhism followers.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hold significance in the realm of Buddhist counseling. Ananda's narrative provides rich material for healing conversations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each characteristic of Ananda offering potential as a therapeutic focus. Employing 'story-making,' a hallmark technique in literary therapy, where clients reconstruct Ananda stories and reflect upon them, could introduce a novel approach to Buddhist counseling. Moreover, incorporating Ananda stories into established Buddhist counseling methods, such as ascetic meditation healing, could diversify and enhance the counseling experience. Leveraging various literary works, including folk tales, could serve as a valuable avenue to enrich Buddhist counseling methodologies.

Ⅰ. 연구대상과 목적

Ⅱ. 문학치료학과 텍스트 그리고 서사

Ⅲ. 본생담 서사와 수용자의 자기서사

Ⅳ. 아난다 전생 서사의 위상과 특징

Ⅴ. 아난다 서사에서 찾는 존재적 변혁의 요목

Ⅵ. 본생담 서사의 상담 적용 문제 - 결론을 대신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