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간판과 도시미관 간의 관련성 및 책임소재 인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evancy between Outdoor Signboards and Landscape, and the Recognition of the Responsibility

  • 3
표지.JPG

본 논문은 현대인들에게 있어 집밖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른 건축물, 가로수, 사인물 등과 같은 외부환경이 그들의 생활에 있어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가운데 간판은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고 하나의 문화상징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무질서함에 따라 하나의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오늘날 간판의 현상이 어느 한 요인의 결과로 보기에는 어렵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복합적인 문제들이 지금과 같은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제도를 만들고 이를 관리하는 주체인 국회,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직접적으로 간판을 만드는 간판제작업체, 관리해야 할 건물주, 가장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입점업체, 옥외환경의 주인이라 볼 수 있는 시민이나 시민단체 등이 만들어 낸 하나의 현상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들 문제에 대해 대학생들은 도시경관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간판에 대해 현재 문제점들에 대한 인식과 이를 개선하기 위해 책임소재를 파악함으로서 앞으로 건전한 간판문화를 만들어 나가기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다.

Outdoor billboards and signs have grown in number throughout the course of rapid urba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se days,however, with the growing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its impact on the urban landscape is becoming a serious issue. To deal with this problems, each administration is conducting projects to signboards hiring diverse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We observed the recognition of citizens toward outdoor signboards which are taking up a wide range of role in city landscape. For the research objective, it executed an analysis on the responses about the questions posed to university students.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aspects in the recognition of the students. First, the students who thought there is relevancy between signboards and landscape in city, were declined to think that signboards have many problems. Second, there was no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students in terms of where they are living between urban or rural areas. Lastly, they determined that the manufacturers of signboards have the first responsibility in management. And they determined that the next turns of responsibility are officials, citizens, business owners and laws.

Ⅰ. 서론

II. 방법 및 절차

III.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