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광고특구 가능성에 대한 옥외광고 시범지역 연구: 뉴욕 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ad zones: New York Times Square case

  • 0
표지.JPG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옥외광고물은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비교적 소형이지만 수량이 많고 형태가 다양하며, 배치가 자유롭기 때문에 도시의 경관인상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광고물 관리의 차원에서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광고특구로서의 옥외광고시범지역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옥외광고 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업계 주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한 창조도시로서의 전환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뉴욕의 여러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현재 도시적, 경관적, 옥외광고물관리법적인 측면에서 도시경관의 요소로서 다루고 있으며, 제재의 수단이 아닌 지원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도지사의 권한 위임을 통해 종합적 계획체계가 형성 될 수 있는 기반이 있음을 확 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가 완결된 기능 구조로서 경제활동과 여가 휴식이 가능한 형태로 도시를 탈바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의 가능성으로는 뉴욕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도심의 재생사업의 일환으로서 광고특구 제도의 시행의 적용도 고려해볼 가치가 있다.

Outdoor billboards and signs have grown in number throughout the course of rapid urba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se days, however, with the growing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its impact on the urban landscape is becoming a serious issue. To deal with this problems, each administration is conducting projects to advertising management regulations and advertisement special zone. In this study, we observed different aspects of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relevant literatures. It also included some case studies in New York Times Square case, where the local government has already completed a series of advertising management regulations and advertisement special zone.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 문헌

부록 : 지역 특구 지정 개요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