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special education music subjects in the context of the newly introduced 2022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nalyzed both the current 2015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music textbook and the revised 2022 special education music curriculum, drawing implications for the formulation of new textbook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first, that textbooks should be structured to present essential questions and performance tasks, aligning with a competency-based approach centered around core(central) ideas.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n organic connection among goals, content, methods, evaluation, and supplementation. Second, the 'daily life' area should be integrated and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all areas of music, and creative areas should be diversified and supplemented. Third, there's a requirement to optimize the volume of learning and to organize more autonomous textbook content. Fourth, integrating contents with other subjects or areas is recommended. The study also proposes supplementing music lesson content and incorporating various strategies and metho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echnology.
이 연구는 새롭게 고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중 특수교육 음악 교과를 위한 초등 교과서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 현행 특수교육 초등 음악 교과서 및 2022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과서가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하는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첫째, 교과서는 핵심 아이디어 기반 역량 함양 교육을 위해 핵심 질문과 수행과제를 제시하고 목표-내용-방법-평가-보충심화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편찬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생활화는 모든 음악 영역과 통합하여 연계 제시하고 창작 영역은 다양하게 추가 보완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학습량을 적정화하고 보다 자율적인 교과서 내용 구성이 요청된다는 점, 넷째, 다른 교과나 영역과 연계 융합한 내용을 보완하고,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 등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활용한 음악 수업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Curriculum Analysis for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Ⅳ. Current Textbook Analysis for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Ⅴ. Proposal for the Composition of Teaching-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Textbook
Ⅵ. Discussion & Conclus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