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Analysis of Music Curriculum Standards in Mainland China, Hong Kong and Macao: A Comparative Study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의 음악 커리큘럼 표준 분석 비교 연구

  • 35
수정.png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specifically on the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the latest music curriculum standards from Mainland China, Hong Kong SAR and Macao SAR. According to the three music curriculum standards, different strategies are used to promote arts education. China's Compulsory Education Art Curriculum Standards (2022 Edition) adopts a comprehensive design for art education, while Hong Kong's Art Education Learning Area Curriculum Guide (Primary 1- Secondary 6, 2017) adopt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Macao's Requirements of Basic Academic Attainments (Music, 2015) is a practical document that details various indicators. This article provides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goal positioning of education policies across various region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It compares the curriculum frameworks, learning targets, and objectives outlined in recent education document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core competencies" of Mainland China’s music curriculum standards are implicit within the music standards of Hong Kong and Macao. "Educating people with aesthetics and educating people with culture" is the core of the curriculum standards of all three regions in Chin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earning traditional Chinese music culture to enhance cultural identity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본토, 홍콩 SAR 및 마카오 SA의 최신 음악 커리큘럼 표준을 분석하고 비교하는데 중점을 둔다. 세 가지 음악 커리큘럼 표준에 따라 예술 교육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이 사용된다. 중국의 의무 교육 예술 커리큘럼 표준 (2022년 판)은 예술교육을 위한 포괄적인 설계를 채택하고, 홍콩 예술 교육 학습 영역 커리큘럼 가이드 (초등1~중등6, 2017)의 학제간 접근 방식과 마카오의 기본 학업 성취 조건(음악)을 채택한다. 본 연구는 비교 연구를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 취하는 교육 정책 목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최근 교육 문서에 커리큘럼 프레임 워크 학습 목표를 비교하며, 중국 본토 음악 커리큘럼 표준의 “핵심 역량”이 홍콩에 숨겨져 있음을 분석한다. 마카오의 음악 표준인 “미학으로 사람을 교육하고 문화로 사람을 교육한다”는 중국 3개 지역 커리큘럼 표준의 핵심으로, 문화적 정체성과 학제간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전통 음악 문화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