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융합기반 음악교육 프로그램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효과성 및 의미 고찰

Effectiveness and Significance Analysis of the Convergence-Based Music Education Program: Soundscape Design

  • 340
수정.png

이 연구는 음악과 과학에 중점을 둔 융합기반 음악교육 프로그램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 수업을 실행 후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수업의 효과성과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 수업은 학생들이 ‘삶의 예술가’ 로서 소리에 의식적으로 주목하고 의도를 담은 음악 작품을 창작하며 소리와 음악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의미 있는 예술 경험을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수업은 M.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을 바탕으로 한 1부 ‘소리 이해하기’, 2부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과 ‘성찰하기’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성찰하기 질문 결과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소리와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예술가는 특별히 위대한 인물이 아니라 나와 같이 평범하고 고뇌하는 사람이자 나 또한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예술 작품이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이 아닌 무수한 시간과 고민이 필요한 것, 의도와 의미가 있는 것, 새롭고 다르게 보게 하는 것, 일상적인 것이라는 학생들의 인식 변화는 예술에 대한 태도의 변화의 가능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ual changes of learners after implementing the convergence-based music education program, Soundscape Design, which focuses on the integration of music and science.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and significance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provide students with meaningful artistic experiences by consciously paying attention to sound as "artists of life," creating music pieces with intention, and reflecting on sound and music. The program is divided into two parts: Part 1, "Understanding Sound," based on M. Schafer's concept of Soundscapes, and Part 2, consisting of "Soundscape Design" and "Reflection" phases. The results of the reflection questions show that through the Soundscape Design activities, students underwent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sound and music. They gained the realization that an artist is not necessarily a great figure, but rather an ordinary person like themselves, capable of becoming an artist, dealing with struggles. Moreover, their perception changed regarding artworks, understanding that art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holds intention and meaning, provides new perspectives, and encompasses everyday life. These changes suggest a potential shift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ar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수업설계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요약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