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증강현실(AR)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이상적 자아와 실제적 자아의 자아일치감 반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Advertising through Augmented Reality(AR) Cosmetics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Reflection of Self-Congruity Between the Real Self and the Ideal Self

  • 11
표지.JPG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을 활용한 화장품 앱 광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및 증강현실 앱 광고의 효과를 파악하는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밝히기 위해 300명에게 모바일 링크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에서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응답자들은 증강현실 앱 광고를 통한 메이크업(가상 화장) 체험에서 자아이미지일치감을 경험하며, 이러한 자아이미지 일치감이 높을수록 광고효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강현실 화장품앱 광고만의 특성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광고의 창의성(독특함), 몰입도, 실재감 및 증강현실 광고에 대한 유용성 지각은광고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증강현실 화장품 앱 광고는 광고 창의성 지각 – 몰입도 증가– 실재감 증가 – 유용성 증가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광고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넷째, 자아일치감 지각이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증강현실 앱 광고의 특성 요인 중 광고 창의성과 유용성은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ʻ자아일치감→창의성→유용성→광고효과ʼ의 다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결국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체험을 전제로 하는 증강현실화장품 앱 광고에서 광고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던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dvertising effect in a mobile cosmetic app advertisement utilizing AR. And another research purpose is to reveal the hierarchical advertising effect in the AR advertising.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eople using mobile link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experienced a perception of self-congruity in a make-up(virtual make-up) experience through an AR app ads, and the higher the sense of self-image match, the higher the advertising effect. Second, the creativity, immersion, presenc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augmented reality advertis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Third, in augmented reality cosmetic app ad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vertising effect is increas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perception of advertising creativity- immersion-presence-increased usability. Fourth, in the process of the self-congruityʼs influencing on the advertising effect, it was shown that creativity and usefulness of the AR advertising play a mediated role. In the end, these findings raise strategic implications for augmented reality cosmetic app advertising.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