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립지원표준화프로그램 운영 과정에 관한 연구: K아동양육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Standardized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Focusing on K Child care institution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 제18권 제1호
- 2024.03
- 33 - 60 (28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의 자립지원표준화프로그램(READY? ACTION!) 운영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면접,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일반적 질적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질적이지 않은 체험: UNReal Expierence’, ‘목적없는 의무: Aimless Duty’, ‘매년 하는 일: Yearly ACTION’이라는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UNReal Experience’는 진정성이나 실질적인 내용이 부족한 활동을 뜻하며, ‘Aimless Duty’는 명확한 목표나 중요성이 없는 책임이나 의무, 마지막으로 ‘Yearly ACTION’은 매년 수행되는 의미없는 활동을 의미한다.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발견한 중심의미는 ‘UNREADY! ACTION?’이다. 연구자는 이 결과를 토대로 보호대상 아동의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의 자립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그리고 자립지원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Standardized Self-reliance Support Program(READY? ACTION!) in Child care institution. To achieve this,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and delves into three distinct categories of ‘UNReal Experience’, ‘Aimless Duty’, and ‘Yearly ACTION.’ ‘UNReal Experience’ focuses on activities lacking authenticity or substantive content. ‘Aimless Duty’ refers to responsibilities or obligations without clear objectives or significance. Lastly, ‘Yearly ACTION’ signifies meaningless activities performed annually. Through the analysis, the central meaning ultimately discovered is ‘UNREADY! 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proposed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along with improvements in self-reliance support policies.
1. 서 론
2. 문헌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