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한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 도출 연구

A study on deriving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s for the disabled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 188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인의 전 생애에 걸친 체육 활동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15명의 평생체육 전문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는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에 대한 개방형 문항을 통해 전문가의 자유로운 의견을 수렴하였고, 2차 델파이 조사는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 초안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체크리스트 형식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또한, 모든 자료처리 과정을 연구윤리감독관의 동석 하에 진행하여 연구결과 산출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의 초안은 [장애인 체육시설 접근성 강화], [장애인 평생체육 정보 접근성 강화], [장애인 평생체육 프로그램 전문화], [장애인 평생체육 역량 강화] 등 4개의 대영역 및 14개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되었다. 둘째, 4개의 대영역과 14개의 세부 추진과제 전부 수렴도, 합의도, 안정도,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 모두 기준치에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도출된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의 최종안은 4개의 대영역 및 14개의 세부 추진과제로 확정되었다. 논의 및 제언: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을 위해 장애인 평생체육 발전과제의 구성 및 의의를 논의하고 장애인 평생체육 연구 활성화 및 장애인 평생체육 관련 행정부처 간 연계·협력 등과 같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장애인 평생체육 정책에 대한 제언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riving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s for the disabled to support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throughout their lives.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15 lifelong sports exper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derive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s for the disabled, and a total of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m. Specifically, the first Delphi survey collected the free opinions of experts through open-ended questions on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s for the disabled, and the second Delphi surve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draft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s for the disabled derived through the first Delphi survey. For this purpose, checklist-type questions were used. In addition, all data processing processes were conducted under the presence of a research ethics supervisor and ensur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results.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raft of the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 for the disabled consisted of four major areas and 14 detailed projects: [strengthening access to sport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trengthening access to lifelong sports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specializing in lifelong sports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strengthening lifelong sports capabilities for the disabled]. Second, the results of convergence, consensus, stability,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in all four major areas and 14 detailed projects were all confirmed to meet the criteria. Third, the final draft of the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 for the disabled derived through such procedures was confirmed into four major areas and 14 detailed implementation tasks.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sports for the disabled, the composition and significance of lifelong sports development tasks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several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such as revitalizing lifelong sports research for the disabled and linking and cooperating with administrative ministries related to lifelong sports for the disabled, and suggestions for lifelong sports policies for the disabled were presen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