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중 고등교육기관의 ‘중외합작판학中外合作办学’ 협력 현황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시사점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Chinese-Korean Cooperative Education(CKCE)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 Perspectiv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 117
커버이미지 없음

Although Chinese-Korean Cooperative Education(CKCE)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over the past 22 years by achieving a scale comparable to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terms of institution establishment and student recruitmen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the CKCE learners continues to be marginalized within Korean language teaching at Chinese universities. To explore the increasing promin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KCE learners as a bran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n-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s China's policies on Chinese-Foreign Cooperation in Running Schools(CFC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 As of January 2024, it examines the establishment status of CKCE institutions by year, type, degree program, region, and major, with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universities from both countries reviewed based on management subjects, school systems, rankings, and lo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it provides implications regarding the attributes and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textbooks.

한중 고등교육기관의 ‘중외합작판학’ 협력은 지난 22년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기관 설립과 학생 모집 면에서 한국어학과에 뒤지지 않는 규모를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여전히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에서 소외되고 있다. ‘중외합작판학’ 한국어교육은 중국 대학 한국어 비전공교육의 한 갈래로서 그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본고는 우선 중국의 ‘중외합작판학’ 정책과 중외합작교육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024년 1월 기준 한중 합작기관의 설립 현황을 연도별, 유형별, 과정별, 지역별, 전공별로 고찰하고 경영주체, 학제, 순위, 소재지에 따른 한중 참여 대학의 특성도 검토하였다. 현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의 성격 및 목표, 한국어 커리큘럼, 한국어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한국어 교수진 및 교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Ⅰ. 서론

Ⅱ. 중국의 ‘중외합작판학’ 정책 및 교육의 특징

Ⅲ. 한중 고등교육기관의 ‘중외합작판학’ 협력 현황

Ⅳ. 한국어교육에 대한 시사점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