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성인 진입기 공황장애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진입기 공황장애 증상으로 의뢰된 3명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Bowen의 가족체계이론과 MRI 의사소통모델의 가족치료를 실시한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공황장애에 영향을 미친 요인, 치료사의 개입 방법과 내담자의 변화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코딩을 하였고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통하여 패턴코딩을 하여 최종적인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 결과를 매트릭스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여주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황장애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촉발요인과 잠재요인이 나타났다. 촉발요인에는 한국 사회의 성인 진입기 스트레스인 학업 스트레스, 이성 관계 스트레스, 사회생활 스트레스가 포함되었다. 또한, 잠재요인으로는 가족의 누적된 스트레스,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가족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포함되었다. 둘째, 치료사의 개입 방법에는 치료 목표설정, 원가족 탐색, 통찰력 강화 유도, 행동 변화 유도가 포함되었다. 셋째, 가족치료 개입의 효과에는 가족구성원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방식의 변화, 공황발작 증상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 진입기 공황장애가 있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가족치료사는 공황장애 증상 이면에 있는 부모의 양육방식, 가족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 방식과 원가족과의 해결되지 않은 정서적인 문제로 인한 전이에 초점을 두고 접근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panic disorder, the therapist's interven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family therapy interventions, focusing on three family therapy cases applied to Bowen's family system theory and MRI communication model for three panic disorder clients in emerging adulthood. Methods: Data—therapy notes, recordings, and transcribed documents—were first coded and then pattern coded through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o derive the final categories.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a matrix and network. Result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wo types of factors influenced panic disorder: triggering factors and latent factors. Second, therapeutic interventions encompassed setting treatment goals, exploring the family of origin, promoting insight, and encouraging behavioral change. Third, the outcomes of family therapy intervention were marked by enhanced understanding among family members, positive changes in communication patterns, and a reduction in panic attack symptom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therapists working with emerging adults experiencing panic disorder should address parenting styles, communication patterns among family members, and transference from unresolved emotional issues with the family of origin.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