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evelopmental stag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on desire for promotion and teacher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경기도 지역 공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233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9.0을 통해 빈도분석, 신뢰도 계수 산출,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발달단계 하위요인 중 성장, 성숙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승진욕구는 보통 수준, 교사헌신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발달단계와 승진욕구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승진지향성장 성숙은 승진욕구와 정적 상관 안정 침체 좌절은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교사발달단계와 교사헌신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장, 성숙, 승진지향은 정적 상관, 좌절, 생존은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발달단계는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발달단계 하위요인중 승진지향과 좌절은 승진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성장과 좌절은 교사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립유치원 교사발달단계는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영향을 주기에 교사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제도적 지원과 인사정책의 보완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으며 향후 관련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on desire for promotion and teacher commitment. The research method collected 233 copies of data collected from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m through SPSS 29.0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calculati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 development stage of public kindergartens, growth and maturity were found to be high, desire for promotion were found to be at an intermediate level, and teacher commitment was found to be high.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 development stage and the promotion desire, promotion orientation, growth, and matur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omotion desire, and stability, recession, and frustr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 development stage and teacher commitment, growth, maturity, and promotion orient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frustration and survival were negatively correlat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