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early child writing guidance process

본 연구는 유아의 쓰기를 지도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가 지향해야 하는 바람직한 쓰기지도의 방향성과 태도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유아를 대상으로 쓰기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10년차 내외의 유치원 교사 4인을 대상으로 개인면담 및 집단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쓰기지도 과정을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양상을 확인하였다. 첫째, 실천직 지식의 측면에서 교사는 쓰기지도를 통해 유아의 쓰기를 이해할 수 있었다. 즉, 유아의 쓰기와 성인의 쓰기 비교, 유아의 쓰기에서 교사의 역할, 그리고 유아의 주체적 쓰기를 위한 필요조건을 파악함으로써, 유아만의 쓰기가 가지는 특징을 알게 되었다. 둘째, 정서적 가치관의 측면에서 교사는 쓰기지도를 통해 자신의 교육신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즉, 유아를 둘러싼 환경 속에서 겪게 되는 딜레마, 다양한 쓰기 자료를 접하며 겪게 되는 가치관의 변화, 실제 쓰기지도에 반영해야 하는 주안점 도출을 통하여, 쓰기지 도를 위한 자신만의 신념을 지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유아의 쓰기가 활성화되고 교사의 역량이 강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direction and attitude of desirable writing instructio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pursue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guiding early childhood writing. To this end, individual and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kindergarten teachers with around 10 years of experience teaching writing for various young childr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riting guidance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eachers' perceptions were examined in two main aspects. First, in terms of practical knowledge, teachers were able to understand children's writing through writing guidance. In other words, by comparing children's writing with adults' writing, the role of teachers in children's writing, and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children's independent writing, we lear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writing. Second, teachers were able to form their own educational beliefs through writing guidance in terms of emotional values. In other words, through the dilemma experienced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hildren, the change in values experienced by experiencing various writing materials, and the derivation of points that should be reflected in the actual writing guidance, they came to have their own beliefs for writing guidance. It is expected that children's writing will be activated and teachers' capabilities will be strengthened by using these research results as basic data.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