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현직 유치원 교사의 현장 사례 기반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field-based classes by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현직 유치원 교사가 진행하는 현장 사례 기반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요구를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G지역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개설된 영유아교수방법론을 수강한 17명이었고, 수업에서 현직 유치원 교사 는 온라인으로 강의와 모의수업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별저널, 집단면담 전사자료,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이며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교육활동의 부담감을 덜어주는 실질적인 강의’, ‘모의수업의 몰입과 성취감을 높인 수업방식’,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재조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요구는 ‘풍부한 현장 경험과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는 적극적인 태도의 교사 참 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높이는 수업방법의 개선’,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물 리적 공간 및 수업매체의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대학과 현장이 협력하여 현직 교사 참여를 활성화하고, 교육에 현장성을 강조하는 다양한 모델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gaged in field-based classes condu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Seventeen students enrolled in a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at a university in the G reg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vided lectures and mock class feedback onl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journals, group interview transcripts, and a satisfaction survey, and content analysi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firstly, that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characterized by ‘practical lectures alleviating the burden of educational activities’, ‘teaching methods increasing immersion and a sense of achievement in mock lessons,’ and ‘redefining the role of teachers in a child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Secondly, the demands of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active teacher participation with rich field experience and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enhancing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support for physical spaces and teaching media that provide a sense of re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diversified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field settings to enhance teacher engagement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field-oriented model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