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치원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 및 참여의 교육적 효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s’ involvement in kindergarten education: Focusing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유아교육의 질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초 점을 맞추어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육 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f Korea Children)의 제7차 연도 조사 에 참여한 만 6세 유아 중, 조사일 현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것으로 나타난 유아의 담임교사 737 명이 응답한 교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관심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부모의 유치원 교 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 은 결과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유치원 교육의 질 제고에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참여의 방식과 정도에 대한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교육적 관심과 참여는 교사의 전문적 자 율성을 기초로 하는 범위 내에서 실천될 때 교육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ents’ involvement in kindergarten education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terest in and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data from 737 homeroom teachers of 6-year-ol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7th annual survey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ents’ interest in kindergarten educ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the other h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case of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parents’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will have an unconditional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Instead, the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method and extent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parents’ active education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can exert educational effects when practiced within the framework of teachers’ professional autonom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