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s for Raising Music Appreciation 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 아래 연구자는 이 연구의 구조를 기초, 설계, 결과로 설계한다. 제2장 연구 기초는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의 배경,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의 개념 및 단계,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에 대해 고찰한다. 제3장 연구 설계는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의 성격,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8과정의 설정,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의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에의 적용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4장 연구 결과에서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해,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의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별 내용 체계, 교수·학습 과정의 개발 방향, 평가 등 4개의 절을 제시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음악교과교육학자는 교육공학적인 접근으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를 이해하고 이를 교수·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교과교육학자는 교과교육학적인 접근으로 음악교과교육의 특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음악교과교육의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 등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의 과정을 정교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for the cultivation of music appreciation ability. Under this goal, the investigator designed the study in a structure of basics, designs, and results. Chapter 2 for the basics of the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developing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he concept and stages of raising music appreciation ability, and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hapter 3 for the research design describes the nature of developing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o raise music appreciation ability, the eight courses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o raise music appreciation ability, and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principle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m, Chapter 4 for findings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o raise music appreciation ability in four paragraphs cove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to develop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for raising music appreciation ability, the content system of each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the direction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and assess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first, music subject educators should understand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in an approach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conduct research on ways to apply it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secondly, music subject educator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subject education in an approach of subject pedagogy and sophistic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music appreciation ability as the basi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in music subject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기초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