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36-1.png
KCI등재 학술저널

CiteSpace를 통한 중국 가정학 연구 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Bibliometric Analysis on Trends of Home Economics Research in China Using CiteSpace

본 연구는 중국의 가정학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의 가정학 연구의 시기별 분포, 키워드 분포, 연구자별 분포, 피인용 빈도, 연구기관별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CNKI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1984년부터 2022년까지의 149편이 최종 분석을 위해 선정되었다. 수집한 데이터를 CiteSpace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분포의 경우 2018년부터 2022년에 가장 많은 가정학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2015년과 2020년에 연구가 급증했다. 둘째, 키워드 분포를 알아본 결과 가정교육, 가정철학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활발하며, 다양한 연구 분야가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 셋째, 중국 가정학 연구의 주요 기여자는 Li, Xiong, Xia, Wu 등이며, 각자 주로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피인용 빈도는 Li(2006)의 연구가 가장 높았고, 연구기관별로는 지린농업대학이 가장 많은 연구를 발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의 가정학 연구는 사회변화로 인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다양성과 연구 성과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학자들의 참여와 실용적인 학문의 응용, 정부 지원 강화, 향후 포괄적이고 질적인 연구를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home economics research in China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by period, keyword distribution, distribution of researchers, citation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research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CNKI, spanning from 1984 to 2022, resulted in 149 articles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analysis conducted using CiteSpace for the bibliometric research method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 significant amount of home economic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2, with a notable increase in research in 2015 and 2020. Secondly, the analysis of keyword distribution showed that research centered around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economics philosophy, etc., was active, and various research areas formed clusters. Thirdly, the major contributors to China's home economics research were Li, Xiong, Xia, and Wu, who mainly conducted independent research. The research by Li (2006) had the highest citation frequency, and Jilin Agricultural University published the most research among the institut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despite quantitative growth due to social changes, China's home economics research lacks diversity and consideration of research outcomes. Therefore, participation from scholars,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iscipline, increased government support, and cooperation for future comprehens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necessar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