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가스라이팅 관련 범죄기사 분석: 텍스트마이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rime Articles Related Gaslighting: Focusing on Text Mining and Content Analysis

DOI : 10.20497/jwce.2024.13.1.217
  • 235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가스라이팅 관련 범죄 사건의 주요 키워드가 무엇이며, 어떤 주제로 분류되는지 분석하고, 가스라이팅의 단위 사건 기사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가스라이팅 범죄 사건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주요 11대 일간지에서 '가스라이팅'을 주제어로 검색한 범죄 사건 기사 710개를 워드 클라우딩, 토픽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였고, 내용분석으로 사건 내용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스라이팅 관련 범죄 사건은 2020년 이후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주제별로 토픽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계곡살인 사건’, ‘미성년자 학대 및 성범죄 관련 사건’, ‘권위에 의한 성폭행 사건’, ‘스포츠․연예인 관련 사건’의 4가지 토픽으로 정리되었다. 이를 동일 사건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기사 내용을 하나의 사례로 처리하여 내용 분석을 한 결과 총 118개의 범죄 사건이 추출되었다. 주요 범죄 사건 유형으로는 성범죄 사건이 60%로 가장 많았고, 살인, 폭행, 사기,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스라이팅 범죄의 가해자와 피해자와의 관계를 범주화하였을 때 직장 내 관계, 연인 관계, 가족 관계(부모-자녀, 부부, 형제자매), 사제 관계 등의 순으로 나타나서 기존의 친밀한 관계에서 이러한 심리적 조종과 지배를 이용한 범죄가 발생한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가스라이팅 범죄 연구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keywords and themes of criminal cases related to gaslighting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articles containing the concept of gaslighting through content analysis of individual case articles on gaslighting. To this end, 710 criminal case articles searched for 'gaslighting' as a topic in 11 major daily newspapers in Korea from 2019 to 2023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word clouding and topic modeling, and the contents of the cases were presented through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these incidents, they were organized into four topics: 'Valley murders', 'Minor abuse and sexual crimes', 'Sexual assault by authority', and 'Sports and celebrity-related incidents', which were reported the most. By analyzing the content of articles centered around the same incidents, a total of 118 criminal cases were extracted. The main types of crimes were sexual crimes, accounting for 60%, followed by murder, assault, fraud, and others. Further, when catego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it was found that crimes occurred mainly in workplace relationships, romantic relationships, family relationships (parents-children, spouses, siblings), and priestly relationships. This reaffirmed that such crimes utilizing psychological manipulation and domination occur in existing intimate relationship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domestic gaslighting crimes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