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진로준비행동과 대학 만족도, 첫 일자리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부모 최종학력에 따른 세대 간 비교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and First Job Satisfaction : Inter-gernerational Comparison by Highest Level of College Graduates' Parental Schooling

본 연구는 대졸자를 대상으로 재학 시기의 진로준비행동이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부모 최종학력에 따른 세대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019년 졸업생(2020) 자료를 활용하여 총 6,47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부모 최종학력에 따른 세대 간 다중집단분석을 각각 수행하고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졸자의 재학 시기 진로준비행동이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 만족도가 완전 매개하였다. 둘째, 대졸자의 재학 시기 진로준비행동과 첫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모 최종학력에 따른 세대 간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진학 첫 세대(FGCS) 여부는 진로준비행동이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 만족도가 매개하지 못하지만, 대학진학 후속 세대(CGCS) 여부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 최종학력에 따른 집단 간 경로 차이는 진로준비행동이 대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노동시장 효과성에 입각하여 진로발달 측면에서 첫 일자리 만족도를 제고하고자 고등교육의 개선노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실증적인 개선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first job satisfaction among college graduates, and to test for differences in this effect by the highest level of parental schooling attainment. Using data from 2019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20), we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ith the highest level of parental schooling for a total of 6,473 participant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llege satisfac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first job satisfaction among college graduates.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graduat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first job satisfaction were based on the highest level of parental schooling attainment. Specifically, college satisfact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first job satisfaction in the first-generation college students(FGCS) group, but fully mediated it in the continuing-generation college students(CGCS) group. In addition, the path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ollege satisfaction. We concluded that higher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first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based Labor Market Effectiveness, and empirical improvement measur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ovi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