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직업훈련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과평가수용성과 직무만족의 이중매개효과

Effects of perceived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on Job Performance among Vocational Training Center Employees: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Performance Appraisal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이 연구는 직업훈련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고찰하고 성과평가수용성과 직무만족이 그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직업훈련기관 종사자 168명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각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Process Macro의 Model 6을 활용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성과평가수용성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고성과작업시스템, 성과평가수용성, 직무만족, 직무성과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성과평가수용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성과평가수용성,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직업훈련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인식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있어 성과평가수용성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 on job performance of vocational training center employees and to verify whether performance appraisal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Using questionnaire data from 168 vocational training center work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were analyzed, and Process Macro's Model 6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appraisal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 and job performance,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 performance appraisal acceptanc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s perceived by vocational training center members. Second, the direct effect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 on job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appraisa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job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ir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 on job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performance appraisal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