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초등교사의 연구학교 근무 중 소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o not aspire to promotion while working in a research school

본 연구는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초등교사가 교사 승진 체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학교에서 근무하며 어떤 소진을 경험하였는지를 내러티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인 희망초등학교(가명)에 근무하고 있으나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장원영 교사(가명)와 안유진 교사(가명)를 대상으로 내러티브적 대화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장원영 교사는 교사로서의 성장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연구학교에서 의욕적으로 근무하고자 하였지만 평교사로서의 삶을 추구하는 자신의 가치관과 연구학교의 승진 지향적 문화의 충돌, 그리고 교직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상식이 연구학교로 인해 무너지는 경험을 하며 소진되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내적인 단단함을 가진 교사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안유진 교사는 승진을 원하지 않을 뿐 연구학교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했지만 교육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연구학교라는 이유로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과 비민주적 학교 운영, 그리고 학교에 헌신할 동기의 부재로 소진을 겪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업무를 적당히 처리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 교사의 경험의 의미를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에서 살펴보고 연구학교 및 교사 소진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burnout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o not aspire to promotion while working in a research school. To achieve this, narrative dialogu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teachers, Jang Won-young (pseudonym) and Ahn Yoo-jin (pseudonym), both employed at Heemang Elementary School, who expressed no desire for promo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Jang Won-young, initially enthusiastic about working at the research school based on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growth, encountered exhaustion. This was attributed to the conflicting culture of the research school, which emphasized promotion, and her own values seeking a fulfilling life as an ordinary teacher. The clash with pre-existing notions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shattered due to the research school's influence, led to a sense of depletion. Through these experiences, Jang Won-young developed internal resilience. And Ahn Yoo-jin, while not aspiring for promotion, aimed to excel in her given role at the research school. However, she faced exhaustion due to the acceptance of irrational situations as an inherent part of the research school's reality, an un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and a lack of intrinsic motivation to dedicate herself to the school. Throughout this process, her ability to handle tasks appropriately improved.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both teachers with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d insights related to research schools and teacher exhaustion, offering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장원영 교사 이야기

Ⅴ. 안유진 교사 이야기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