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입시위주의 교육 현실에서 파생되는 은행저축식 교육을 지양하고, 역량 중심의 교육을 위해 공동체를 형성하여 실천하는 이론과 방법의 일환으로 모색하는 대안으로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을 고찰하며 제안한다. 기독교의 중요한 교리인 삼위일체론은 성부, 성자, 성령이 구별되지만 분리되지 않는 한 분으로서 인격적으로 존재한다고 역설한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존재방식은 삼위일체적으로 회복하고 지탱해야 마땅하다. 이를 교회교육의 현장에 적용하면 각 개인이 배움의 공동체 안에서 인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공동체를 형성해 공공성에까지 나아가는 교회교육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Ⅰ장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펼쳐지는 분열과 파편화, 은행저축식 교육이 공동체를 상실케 한다고 비판한다. Ⅱ장에서는 삼위일체의 정의와 페리코레시스 공동체의 특징을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삼위일체적 공동체의 특징인 인격적 상호작용과 페리코레시스적 공동체 형성을 교회교육의 장(場)에 모색한다. Ⅳ장에서는 삼위일체적 공동체를 교육목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안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hristian Trinity theory in order to avoid bank savings-type education derived from the reality of education centered on entrance exams, and to seek a part of theories and methods that form a community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n important Christian doctrine, insists tha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exist as distinct but indivisible persons as one person.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must be restored in the Trinitarian view. If this is applied to the field of church education, each individual and individual interact personally in the community of learning, forming a community, and it should be renewed as a church education that advances to the public. Chapter I criticizes the division and fragmenta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entrance exams, and bank savings-style education that causes the loss of the community. Chapter II examines the definition of the Tri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choresis community, and chapter Ⅲ explores the personal interaction and pericoretic community form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nity community, in the arena of church education. Chapter IV presented a teaching plan that can be applied to the Trinity Communit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inistry.
I. 들어가는 말
II. 역량 중심 교육과 공동체
Ⅲ. 삼위일체적 공동체
Ⅳ. 상호 교제의 공동체
Ⅴ. “상호 교제 공동체”를 추구하는 교육 방법
Ⅵ.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