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 언어지도’ 교과목 수업 성찰을 통한 예비 유아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탐색

Exploring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y through reflection on the subject of ‘languag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예비 유아 교사들의 언어지도 수업 후 성찰을 통하여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탐색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아언어지도’ 교과목을 수강한 서울시 소재 H대학교 아동보육과 2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22년 2학기 16주 수업의 성찰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첫째, 유아 언어지도는 교사를 통한 모델링이 이루어지므로 교사 언어의 영향력과 언어사용의 촉진을 도와야 하며 즐거운 글자 경험을 제공하여 항상 언어사용에 있어서 모범을 보일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반성적 사고로서 언어의 중요성과 가르치는 교사로서 역할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유아-교사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사의 반성적 사고 과정들을 통해 자신의 지식을 재구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들은 유아 언어지도 시 개방적 질문과 칭찬과 격려의 중요성, 관찰을 통한 민감성으로 능동적 교수 실천에 대해 표현하며, 유아가 중심이 된 주도적인 놀이로 운영될 수 있도록 언어활동 계획을 하는 것이 교사의 역량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 유아 교사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성찰지 의미를 탐색하고, 영유아 언어지도 시 교사의 역량을 지원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eacher competency through reflection after language instruction class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rised 30 second-year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Child Care at H University in Seoul who took the ‘Languag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course. The reflection papers written by these students for the 16-week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cated that, firstly, as languag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involves modeling by the teacher, it is crucial to assist in enhancing the teacher's language influence and promoting language usage. Moreover,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enjoyable writing experiences to enable children to consistently set examples in language usage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anguage as a reflective think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role as a teacher,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with early childhood-teachers, and reconstruct one's knowledge through th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Finally,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the teacher's ability to plan language activities so that children could operate as a leading play centered on children, expressing the importance of open questions, praise, and encouragement, and sensitivity through observation. Through thi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 themselves doing their best by selecting various activities and preparing materials that could attract children's interest and curiosity in the next activity preparation stag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fundamental data on ways to support the competencies of aspir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y instruct languag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This is accomplished by accepting their opinions and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reflection papers they have writte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