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조형.png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기업 내에서도 인권을 존중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그 대안으로 삼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의 문화예술교육 도입에 대한 당위성을 찾고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 분석을 기반으로, 기업 문화예술교육 확산을 위한 개인, 기업, 교육전문가, 국가 등 각 역할별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기업에서는 업무 효율 증대, 대외 긍정적 이미지 형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개인에게는 문화예술을 누릴 기본적인 권리의 측면, 건강한 삶,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을 제공받는다는 점을 근거로 그 필요성을 논하였다. 활성화 방안 모색의 결과, 교육전문가에게는 사전 분석이 중요하며, 기업에서는 문화예술에 친숙해질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국가에서는 종래 대기업 위주로 편중되었던 지원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미비했던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제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업 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업 문화예술교육 보급 및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Culture and arts education can serve as an alternative by enhanc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within the company as part of efforts to create a better society.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business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ts promotion.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the dissemination of corpor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quires cooperation not only from individuals but also from companies, education experts, and the state; thus, this study explored ways to activ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role. It was found that companies can gain benefits such as increased work efficiency and the formation of a positive external image. For individuals, the necessity was discussed based on the right to enjoy culture and arts, a healthy life, and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activate it, for education experts, pre-analysis is important, companies need to establish an environment familiar with culture and arts, and the state should provide a governmental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stablish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rpor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its dissemination and expansion.

I. 서론

Ⅱ. 기업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기업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Ⅴ. 기업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Ⅵ.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