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 제11권 1호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and teaching 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24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경인 지역과 서울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3세∼5세 담임 329명을 대상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수효능감, 그릿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측정도구의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한 후, Pearson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중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에는 그릿의 하위 요인(열정, 끈기, 흥미지속) 모두와 교수효능감 중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행동적 상호작용에는 그릿의 하위요인들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and teaching 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2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 I-city, and G province.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ultaneou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both all sub-categories of grit, i.e, desire, endurance and interest maintenance,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and linguistic teacher-child interaction, while only all sub-categories of gri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teacher-child interac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