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 제11권 1호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메타버스를 활용한 놀이 중심 유아안전교육 방향 모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play-based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using metaverse

  • 177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놀이 중심 유아안전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안전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진단해보았다. 그리고 메타버스 활용 교육이 학습자의 주도성 제고, 생동감 있는 모의 체험, 흥미와 몰입 유발과 같은 교육적 의의가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메타버스 활용 놀이 중심 유아안전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지식적 측면에서 안전 체험을 통해 유아 주도적인 개념 습득이 가능하며, 둘째, 기술적 측면에서 메타버스를 통한 안전 대처 상황의 문제해결 경험이 가능하고, 셋째, 태도적 측면에서 몰입을 통해 안전사고 상황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는 교육이 가능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such as enhancing learner initiative, providing lively simulation experiences, and inducing interest and immersion.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Specifically, first, from a knowledge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acquire child-led concepts through safety experiences; second,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problem-solving in safety response situations through the metaverse; and third, from an attitudinal asp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education that increases sensitivity to safety accident situations through immersion.

Ⅰ. 서론

Ⅱ.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진단

Ⅲ. 메타버스의 교육적 의의

Ⅳ. 메타버스 활용 놀이 중심 유아안전교육의 가능성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