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중 중국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의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 학술지 논문의 연구 성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7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후 선행연구의 분류틀을 참조하여 교재 유형과 연구 목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재 유형 측면에서는 특정 등급을 고려하지 않고 교재를 분석하는 연구가 많고, 특정 등급에 한정한 연구 중에서는 초급 교재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교재의 학습 목적으로 구분해 보면 모든 연구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집중되어 있으며 교재의 형태에서는 서책형 교재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목적 측면에서는 교재 개발 및 교재분석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재 평가 및 교재의 일반적인 현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Chinese academic journals that focu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nd to provide insights for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in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ndings with those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o achieve this, 37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based on a pre-existing classification framework into textbook types and research objectiv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y studies do not consider specific levels when analyzing textbooks, and among those that do,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beginner-level textbooks.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textbooks, all the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nd most of the research was on printed textbooks. Regarding the research objectives, studies on textbook development and analysis are relatively active.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및 분석 기준
Ⅲ. 연구 대상
Ⅳ. 연구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