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인간-AI’의 협력학습 환경에서 대화 생성형 AI의 역할과 대학생 경험 분석

Analysis of the role of conversation-generating AI and student experience in a ‘human-AI’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AI의 협력학습 환경에서 생성형 AI의 역할을 탐색하고 인간과 AI간의 관계를 확인함과 동시에, 이 두 주체(인간, AI)의 관계에서 인간의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고등교육기관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학습 상황에 대한 적절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화 생성형 AI 활용이 허용된 팀기반 문제해결 활동을 수행하게 하였고, 이들이 작성하여 제출한 사전검사, 팀활동 수행내용이 담긴 팀활동 보고서, 사후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학습에서 대화 생성형 AI의 역할은 ‘아이디어 브레인 스토밍’, ‘사고의 체계화’, ‘팀원 간의 효과적인 의견 통합’, ‘팀의 의견을 담은 글의 초고 작성, 수정 및 검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학습에서 대화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생들의 경험은 복합적이고 상반된 입장이 공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생성형 AI에 대한 학생들의 느낌은 크게 ‘긍정 느낌’과 ‘우려’로 나뉘었고, 생각과 주장을 담은 글쓰기에 대한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 의견이 공존하였다. 그러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모두 긍정의견 제시하였으며, 교육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우선 고려할 점으 로, i)사용자의 활용역량 강화, ii)보조 도구로서의 활용 범위 규정, iii)생성형 AI 자체의 기술적 결함 보완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between humans and AI,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analyze human experiences within this relationship. The goal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the use of generative AI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involved 11 university students in team-based problem-solving activities that allowed the use of conversational generative AI. The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pre-tests, team activity reports that included the content of the team activities, and post-tests submitted by thes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role of conversational generative AI was identified as 'idea brainstorming,' 'structuring of thoughts,' 'effective integration of opinions among team members,' and 'drafting, revising, and reviewing the team's opinionated writings.' Secon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using conversational generative AI in collaborative learning showed a complex and coexisting pattern of contrasting positions. Specifically, students' feelings towards generative AI were divided into 'positive feelings' and 'concerns,' and there were coexisting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regarding its use for writing essays containing thoughts and arguments. However, all participant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about its educational utility, and suggested focusing on enhancing user competency, defining the scope of its use as a supportive tool, and addressing technical flaws of generative AI itself as priorities for educational use.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