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유형별 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atisfaction by type of participation in job projects for senior citizens on liv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self-esteem effect -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제18권 제1호
- 2021.06
- 1 - 24 (24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시대에서의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구체적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지역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194명으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가자의 일자리만족도,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은 높으며 사업유형별로는 민간형에 참가하고 있는 노인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일자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셋째, 노인일자리 사업유형별 만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effect of job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COVID-19 era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4 participants in the elderly job program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participants in the elderly job program are high, and by job typ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private sector is the highes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by type of job program for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