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영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 교과목 수강 경험의 의미: 생태적 삶으로의 전환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aking th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ransitioning to eco-life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이 ‘생태유아교육’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생태적 삶’을 실천해 본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1학년도 2학기와 2022학년도 2학기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A대학의 유아교육과 전공심화과정 수강생 31명의 ‘생태적 삶’ 실천 과제와 연구자 노트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생태적 삶’을 실천하면서 내 삶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성찰의 기회가 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들은 내 몸과 마음의 건강한 변화에 만족하며 생태적 실천의 동력을 얻고 있었다. 셋째, 영유아교사들은 실천에 대한 성공과 실패의 경험에서 노력하는 삶의 방식을 배우게 되었다. 넷째, 영유아교사들은 주변과 환경에 대한 선한 영향력의 삶을 그리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위해 ‘생태적 삶’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주며, 나아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에도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practiced “eco-life” while taking the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To this end, in the second semesters of 2021 and 2022, a total of 31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y A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collected and analyzed “eco-life” practical tasks and researcher notes. We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eachers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lives while practicing “eco-life”. Secon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healthy changes in their bodies and minds and were gaining momentum for ecological practice. Third, teachers learned a way of life that strives in the experience of success and failure in practice. Fourth, teachers drew a life of good influence on their surroundings and the environment.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a transition to “eco-life” is necessary for a healthy and satisfactory life of such teachers, and furthermore, it may have an influence on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