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 영유아 생태교육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천과 요구

Perception, practice and needs i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betwee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 생태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고자 장애통합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 영유아 생태교육의 인식과 실천을 알아보았다. 134개 장애통합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12명과 특수교사 121명, 총 333명을 대상으로 근무 중인 어린이집의 생태유아교육 현황과 교사교육 실태,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및 개방형 문항으로 작성한 시행의 어려움과 요구 관련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의 생태유아교육 단계는 두 집단 모두 심화과정 1단계(2년차)이었고, 생태유아교육과 다른프로그램을 같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외부 교사교육 등을 통해 생태유아교육을 접한 경우가 높았다. 둘째, 장애 영유아 생태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육교사보다 특수교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셋째, 장애 영유아 생태교육 프로그램 실천에서도 특수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각각의 집단에서 인식과 실천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장애 영유아 생태교육의 어려운 점은 두 집단 모두 ‘장애 영유아의 개별적 특성과 요구’라고 하였고, 장애 영유아 생태교육의 정착을 위한 요구는 ‘교사의 전문성, 교육’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장애영유아 생태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 지원 관련 논의가 수행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us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difficulties and needs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ECE) for ECE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333 teachers, including 212 early childhood and 121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In the case of open-ended questions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and the frequency was measured by two groups. This study derived following results. First, on regarding the present status of ecological EC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answered as first stage(second year). Regarding the ECE program, teachers implemented ecological ECE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grams. The most common method was external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econ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ECE curriculum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significantly. Third, for the pract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so showed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significant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as also observed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of ecological ECE in each group. Fourth, regarding the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ecological ECE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both groups respond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 the first place. For needs, both groups indicated “teacher expertise and education” as the first prerequisit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