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Needs for Learning Competenc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습역량 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87명을 대상으로 학습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IPA 분석 및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이들의 학습지원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개 영역에 대한 15개 대학생 학습역량 요인이 확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행동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IPA 분석결과, ‘집중개선’ 요인은 ‘메타인지’, ‘수업참여’, ‘시간관리’, ‘목표관리’, ‘환경관리’, ‘수업관리’로 나타났으며,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한 결과, ‘시간관리’의 요구도가 7.8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습역량별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의 경우 1개 역량(정보활용 및 도구사용), 수행도의 경우 9개 역량(메타인지, 창의적 문제해결, 정보활용 및 도구사용, 시간관리, 목표관리, 환경관리, 동기, 효능감, 실행)에서 일반집단의 평균이 저성취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IPA 분석결과, ‘집중개선’ 요인에 대해 일반집단은 3개(수업참여, 시간관리, 목표관리), 저성취집단은 5개(메타인지, 시간관리, 환경관리, 수업관리, 실행)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학습지원 개선방향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needs for learn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For the purpose, a survey on learning competencies was conducted to 87 students of S university and IPA and Borich needs assessment were carried ou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 domains and 15 factors of learning competencies were verified and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veloped. Second, the IPA revealed 6 factors with a higher priority. The Borich result suggested the highest-priority lies in ‘time management’.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earning competencie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mean of average achiev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in ‘information and tool utilization.’ As to performance analysis, the means of averag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 in 9 competencies. The IPA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achievers need to focus more on improving ‘class participation’, ‘time management’, and ‘goal management’. Compared to the other group, the under-achievers require to intensively concentrate on 5 factors. Lastly,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learning support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