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llege Adjustment Scale: Focusing on the case of H Universit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검토, 재학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질적분석한 결과와 델파이 방법을 통해 166문항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진행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최종 확정 문항은 82문항이며 이 중 학업적응 영역은 4개(진로 및 학업목표, 시간관리 및 학습전략, 학업적 흥미 및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심리정서적응 영역은 3개(긍정적 자아개념, 긍정적 정서, 심리적 건강), 사회적응 영역은 4개(사회적 지지, 의사소통능력, 교수와의 관계, 프로그램 참여), 대학환경적응 영역은 3개(교육과정 및 수업 만족도, 제도 및 시설 만족도, 대학 만족도)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활적응 척도의 각 영역별 신뢰도는 .914∼.942로 나타나 신뢰로운 척도라 할 수 있으며 적합도 검증에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적응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 학교생활소진 척도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공인타당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which is reliable and valid to measure the degree of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o school life. A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166 questions was made through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method after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nrolled students and experts. Questions for making scale were develop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 the main survey, and their valid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confirmed questionnaire finally consists of 82 questions, which included 4 academic adjustment areas such as career & academic goals, time management &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interest &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3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djustment areas such as positive self-concept, positive emotion, psychological health, 4 social adjustment areas such as social support, communication ability,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participation in programs. and 3 adjustment to the college environment areas such as curriculum & class satisfaction, system & facility satisfac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The reliability of each area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914 to .942, which can be said to be a highly reliable scale, and it was also found to be good in verifying fitness.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is shown to fulfill concurrent validity criteria by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adjust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student burnout.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