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호모 루덴스」의 ‘놀이’개념에 기반한 지식생태학적 교수체계 탐구

Exploring instructional systems of knowledge ec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play’ in「Homo Ludens」

본 연구의 목적은「호모 루덴스」의 ‘놀이’ 개념에 기반하여 지식생태학적 교수체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기존 지식생태학 선행연구는 지식생태학이란 무엇인지 개념화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지식생태계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다만 지식생태학이 지향하는 현장 중심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천 사례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었다. 그 이유는 지식생태학의 개념을 교육의 실제 상황과 조응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식생태학의 주요 개념을 엮어내어 교수학습 차원의 총체적 체계로 도출시키기 위한 기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iuzinga의 저서「호모 루덴스」의 ‘놀이’ 개념을 기반으로 지식생태학의 주요 개념을 분석하고 통합하여 지식생태적인 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수체계를 도출하고자 했다. 그 결과, 지식생태학적 교수체계의 기본 틀을 미시계, 중간계, 거시계 등 세 개의 차원으로 분류하고, 차원별로 ‘놀이’의 개념을 지식생태학의 주요 키워드와 연결하여 지식생태학적 교수체계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의가 도출되었다. 첫째, 지식생태학의 지식관과 학습관을 아우르는 교육의 실체를 구현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도출되었다. 둘째, 그동안 교육공학 분야에서 단순하게 이해되던 ‘놀이’의 개념을 학습과 효과적으로 연결하였다. 셋째, 교육공학적 처방의 프레임워크로써 생태학적 교수체계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nstructional framework based on the concept of “play” in Johan Huizinga's “Homo Ludens” through the lens of knowledge ecology. Previous studies on knowledge ecology have conceptualized what knowledge ecology entails and provided foundational ideas for implementing knowledge ecosystems. However, there has been a relative lack of practical case studies to verify whether the field-centered changes advocated by knowledge ecology have actually occurred. This gap arises from the absence of concrete strategies to align the concept of knowledge ecology with real educational contexts. To address this limitation, a mechanism is required to weave the key concepts of knowledge ecology into a comprehensive instructional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ntegrate the key concepts of knowledge ecology based on Huizinga's notion of “play” to derive an instructional framework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education. As a result, the basic structure of the knowledge ecological instructional system i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micro, meso, and macro levels. For each dimension, the concept of “play” is connected with the main keywords of knowledge ecology to present the components of the knowledge ecological instructional system. Through this process, three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First, ideas were derived to realize an educational substance that encompasses the views on knowledge and learning within knowledge ecology. Second, the concept of “play,” which was previously understood simplistic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was effectively linked to learning. Third, a framework of ecological instructional systems was presented as a prescriptive model in educational technology.

Ⅰ. 서론: 지식생태학적 교수체계 구현의 기제로서의 놀이

Ⅱ. 교수체계에 대한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접근

Ⅲ.「호모 루덴스」에서 ‘놀이’의 주요 개념

Ⅳ. ‘놀이’의 개념에 기반한 지식생태학적 교수체계 탐구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