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에 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Elderly Drivers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18권 제1호
- 
                                                
                                                    2024.0569 - 76 (8 pages)
- 
                                                
                                                    DOI : 10.34263/jsotad.2024.18.1.69
- 40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주요 사고 영향요인을 산출하여 고령 운전자 교통 안정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제공 자료인 한국도로교통공단의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교통사고에 대한 89,959건 데이터를 Jamovi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서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교통사고 사망률은 운전자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자의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차대 차 사망률이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고령 운전자의 연령대별 교통사고 유형별 빈도 및 사망률을 분석하고, 사고 유형과 연령대별 사망률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향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예방 교육 및 정책 수립 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the traffic safety of elderly drivers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traffic accidents of elderly drivers and calculating the main accident influencing factors.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89,959 cases of traffic accidents from 2017 to 2019 from the Korea Expressway Transportation Corporation, a public data source, using Jamovi. Results : The study found that traffic crashes among drivers aged 65 and older increase annually, and that traffic fatalities increase with increasing driver age. It also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creasing driver age and increasing car-to-car fatalities. Conclusion : This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and fatality rate of each type of traffic accident among elderly drivers by age group, and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accident type and fatality rate by age grou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future traffic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and policy formulation for elderly driver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