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관리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of a Family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Training Program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 한국가족치료학회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제32권 제2호
-
2024.06211 - 238 (28 pages)
-
DOI : 10.21479/kaft.2024.32.2.211
- 13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관리와 활용능력을 향상시켜 보다 전문성을 갖춘 가족상담사로서의 발달을 돕는 역전이 관리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천성문 등(2017)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총 8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족상담사들 중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치하여 사전, 사후 및 추후 시점에서 비교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상담자 자기성찰, 역전이 행동, 사례이해 능력 척도를 혼합설계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은 상담자 자기성찰 수준의 향상과 역전이 행동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가족상담사의 사례이해 능력 향상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함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training program to help family therapists become more professional by improving their ability to manage and utilize countertransference. Methods: To this end, a program consisting of eight session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Cheon Seong-moon et al. (2017).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6 family therapis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compared at pre-, post-, and follow-up time points. The measures of counselor self-reflection,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nd case understanding ability scales were analyzed using mixed ANOV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level of counselor self-reflection and reducing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mprovement of family therapists' case understanding skills. Conclusions: This study helps build capacity for interventions in family counseling. Recommend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