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중등교사의 '교사'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by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rough metaphor analysis

  • 158
서원.png

본 연구는 차세대 교사가 될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은유분석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 소재 H대학교에서 교직과정을 수강하는 예비중등교사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응답을 수집하였고, 그 중 적합한 111건을 대상으로 은유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중등교사들의 교사에 대한 인식은 전문인 역량을 가진 사람, 정서적 역량을 가진 사람 그리고 나의 미래직업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전문인 역량을 가진 사람으로 지도자·안내자 역할, 그리고 만능인·숙련자의 이미지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역량을 가진 사람으로 미성숙한 이를 성숙하게 만드는 사람(정원사, 양육자), 수용자·안전환경 제공자, 선한 정서를 경험하게 해주고 학생 소질을 개발해주는 사람, 속내를 터놓을 수 있는 사람의 이미지로 분석되었다. 셋째, 나의 미래직업으로 교사를 인식하는 것은 교사라는 직업의 의미, 교사를 선택한 이유와 동기,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직업, 교사를 바라보는 근심과 우려가 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중등교사를 가르치는 교강사들이 학습자 특성을 이해할 때 참고할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will become the next generation of teachers, perceive teachers by applying a metaphor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118 university students taking a teaching course at H University in Daejeon, and 111 of them were analyzed using metaphor analysis methodolog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eople with professional competencies, people with emotional competencies, and my future job. First, the image of a person with professional capabilities, a leader/guide role, and an all-rounder/skilled person appeared. Second, people with emotional competency include people who bring immaturity to maturity (gardeners or caregivers), recipients and providers of a safe environment, people wh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good emotions and develop their talents, and people who can reveal their true feelings. Third, in recognizing teaching as my future career, the meaning of the profession as a teacher, the reason and motivation for choosing to be a teacher, a job that requires continuous effort, and concerns regarding teachers were expressed.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basic data for instructors who teach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refer to whe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earne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