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그릿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292
서원.png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성장 마인드셋, 메타인지, 그릿,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메타인지와 그릿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장마인드셋, 메타인지, 그릿,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메타인지와 그릿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성장 마인드셋과 메타인지 및 그릿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research, 295 students at Middle School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tested for growth mindset, meta-cognition,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and grit. Studies show that there was a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meta-cognitive strategies, grit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meta-recognition and grit have been proven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growth mindset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meta-cognition and grit in order to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the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자기주도학습능력

2. 성장마인드셋, 메타인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

3. 성장마인드셋, 그릿, 자기주도학습능력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Ⅳ. 연구결과

1.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 메타인지, 그릿,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

2.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습능력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3.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능력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