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교육실습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of Student Teaching in Music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교육발전
- 제44권 제1호
-
2024.06227 - 245 (19 pages)
- 228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된 국내 음악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외국의 음악교육 연구 동향과 비교하여 국내 음악 교육실습 관련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함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와 방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23년까지 20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년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대 이후로 음악 교육실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음악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주제가 가장 많았다. 또한 질적 연구와 조사 연구의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연구의 특성상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향후 음악 교육실습 관련 연구 및 음악교육의 실제적인 발전을 위해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orean research trends of student teaching in music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student teaching in music by comparing the foreign research trend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and suggest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23 articles being conducted on student teaching in music,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research journals from 2004 to 2023, were classified then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theme, methodology, and participa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has increased the research interest on student teaching in music since 2010. Second, a majority of the publications examined dealt with student teachers' experiences and their perception on student teaching in music, which was consistent with foreign research on student teaching. Third, qualitative research and descriptive research were used as predominant methodologies. Last, the nature of student teaching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represented the highest portion of participant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a variety of theme, methodology, and participants for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student teaching in music and music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실습의 개념과 효용성
2. 음악 교육실습 연구 동향에 대한 국외 연구
Ⅲ. 연구 방법
1. 분석논문의 선정
2. 분석 준거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연도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2. 연구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3.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4. 연구대상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5.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