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仁)은 유학의 핵심 개념으로서 인학은 곧 유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은 유학에서 도덕의 개념으로 처음 등장했고, 역대 유가(儒家)의 논의를 거쳐 인간의 본성, 도덕규범, 도덕적 행위, 정신적 경지를 지칭할 수 있는 함축적인 기본 범주가 됐다. 진래(陳來)는 현대 유학의 본체론 구축 작업을 이어받아 『인학본체론(仁學本體論)』에서 역대 유가의 인론(仁論)을 재구성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일체지인(一體之仁)과 생생지인(生生之仁)의 관점에서 인의 본체론, 우주론적 함의를 개발하고, 인을 우주의 본체, 즉 인체(仁體)로 인식함으로써 인체가 점차 드러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 이론혁신은 유교 인학(仁學)사상을 철저히 철학화하고, 생생일체(生生一体)를 본체로 하는 인학형상학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철학에서 진정으로 현대 신유교의 철학구축사업을 초월하여 유학의 현대해석과 현대 중국철학구축의 상징적인 성과가 되었다.
Ren, as the core concept of Confucianism, is equivalent to Confucianism itself. It first appeared as a moral concept in Confucianism, but through the discussions of Confucian scholars through the ages, it has become a basic category with rich connotations that can be used to refer to the nature of human beings, moral norms, moral behaviors, and spiritual realm. On the basis of the work of constructing the ontology of modern Confucianism, Mr. Chen Lai, in his book The Ontology of Ren, reconstructed and interpreted the Ren theory of Confucian scholars through the ages. He developed the ontological and cosmological connotations of Ren from Ren of one and Ren of endless live, and regarded Ren as the cosmic essence, so that Renti was gradually revealed and finally proved. This theoretical innovation thoroughly philosophizes the Confucian idea of Ren and constructs a metaphysical system of it, which truly transcends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work of modern Neo-Confucianism, thus becoming a landmark achievement in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contemporary China.
1. 緒論
2. 仁學的本體論向度
3. 生生一體之本體
4. 仁體的歷史性展開
5. 結論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