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들이 전문적인 직업 음악인으로서 비장애인들과 동등한 위치에 설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전제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프로그램의 명칭은 ‘발달장애 예술가를 위한 예술가의 길’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을 간단히 살펴본 후, 분석 대상인 K교육기관을 제외한 다양한 발달장애 전문음악기관의 현황을 파악하며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전문음악교육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발달장애 전문음악교육에서 교수자 및 학부모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문헌연구 및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고, ADDIE 모형과 개별화 교육프로그램(IEP)에 대해 알아본 후 이를 토대로 체계적 개별화 기악 교육과정 개발의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학생들은 위한 예술 학습 교재는‘피아노 및 기초이론 학습’, ‘반복학습’, ‘부모 선교육’, ‘개별화’의 네 단계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둘째, 8단계로 도출한 개별화 기악수업 운영 모델은 교수자, 관리자, 보호자, 학습자가 대면 수업을 통해 상호작용이 최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에서 도출된 논의를 통해 발달장애예술가들, 더 나아가 예술가의 활동적 지평이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n the premise of the possibility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stand on an equal footing with non-disabled people as professional musicians. In particular, the name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et as ‘Artist Path for Artis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after briefly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music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cluding K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the targets of analysis, was identified, and the possibility of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iscussed.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instructors and parents in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fter examining the ADDIE system approach model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individualized instrumental music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on th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rt learning textbook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s to consist of four stages: ‘piano and basic theory learning’, ‘repeated learning’, ‘parent pre-education’, and ‘individualization.’ Second, the individualized instrumental class operation model derived in eight stages is that instructors, managers, guardians, and learners can maximize interaction through face-to-face classes. It is hoped that the active horizon of artis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urthermore, artists can be expanded through the discussions derived from the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발달장애 전문 음악교육을 위해 찾아가는 장애인 문화예술학교의 역할과 교육 실태
Ⅳ. 체계적 개별화 기악 교육과정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