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부모정책 수립의 주요 근간이 되었던 미국의 최근 학부모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부모정책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정책 문건, 논문, 보고서, 관련 기관 홈페이지 등 폭넓은 문헌분석을 수행하고, 미국 학부모정책의 최근 동향을 정책목표 및 추진방향, 주요 내용, 학부모 참여 조직, 정책 실현 기반의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미국의 학부모정책은 이중 역량강화 프레임워크에 따라 학생의 교육적 성공과 학교 개선 모두를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학교와 가족의 파트너십 강화 및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미국의 학교-학부모 소통, 학부모교육은 법과 제도에 근거해 실제적인 학교와 학부모 협력으로 구현되고 있다. 셋째, 미국의 학교운영위원회는 학부모와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이 주요 구성원으로 포함되며, 의결기구의 역할을 한다. 학부모-교사회(PTA)는 학교, 주, 전국 단위로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학부모 참여 조직으로, 기금 모금 등을 통해 학교교육 활동에 참여한다. 넷째, 미국은 학부모정책 실현을 위하여 연방정부 및 주정부 차원에서 근거법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를 확고히 마련해왔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와 학부모의 협력 문화 조성, 학교와 학부모의 학생교육에 대한 권리와 책임 인식 향상을 위하여 가칭 「학생교육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협력법」 제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와 가정의 신뢰 회복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모든 학생의 성장을 위한 학부모정책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recent trends in U.S. parent involvement policie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arent policies in Korea.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four main themes emerged. First, U.S. parent involvement policies prioritize student academic success and school improvement through strong family-school partnerships. Secon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schools, as well as parent education, is guided by laws and regulations to foster the parnerships. Third, the Parent Teacher Association engages in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fundraising and other initiatives. School Site Councils include not only parents and teachers but also students as key members, serving as decision-making bodies. Fourth, legal frameworks provide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parent involvement policies.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enacting the 「Family and School Partnerships for Student Education Act」. Addition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school parent policie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