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2020년 발표된 금연 공익광고 ‘노담’ 시리즈의 텍스트 언어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0년 노담 광고는 세 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이야기는 인터뷰 형식을 취한 세 개의 독립적인 텍스트로 이루어졌으나, 동일한 '질문-응답' 구조와 슬로건의 반복을 통해 하나의 텍스트로 결속된다. 두 번째 이야기는 5인의 이야기를 릴레이 형식으로 엮은 하나의 텍스트로, 독립적인 하위 텍스트들이 결속장치를 통해 하나로 묶여 있다. 세 번째 이야기는 하나의 본문과 슬로건으로 구성된 단일한 텍스트 구조를 보인다. 의미구성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하위 텍스트들이 동일한 메시지와 결속장치를 통해 엮임으로서 광고의 의미를 확장하고 목적을 강화한다. 세 번째 이야기에서는 전자담배와 흡연하는 학생을 다루어 금연 대상과 범위를 넓히고 있다. 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광고인만큼, 줄임말과 신조어, 유행어, 외래어 등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관심을 끌고 그들의 공감과 참여를 유도하는 표현 전략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2020 anti-smoking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series 'Nodam'. The 2020 Nodam advertisements consist of three stories. The first story comprises three independent texts in an interview format, but they are unified into a single text through a repeated ‘question-answer' structure and recurring slogans. The second story is a single text woven from the relay-style narratives of five individuals, with independent subtexts bound together by cohesive devices. The third story has a single text structure consisting of one main text and a slogan. In terms of meaning construction, the first and second stories expand the advertisement's meaning and reinforce its purpose by linking subtexts through the same message and cohesive devices. The third story addresses e-cigarettes and smoking students, broadening the target and scope of the anti-smoking message. Additionally, as the advertisements target teenagers, they use abbreviations, neologisms, trendy expressions, and loanwords to capture teenagers' interest and elicit their empathy and participation.
1. 들어가기
2. 연구대상과 방법
3. ‘노담’ 시리즈 2020년 광고 분석
4. 마무리